교재의 나)문제에서 답란의 유접점회로도에는 자기유지회로가 있어서 해설 나)의 '자기유지접점' 은 없다라고 해서 이해 충돌이 일어났었습니다. 그럼, 자기유지접점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타임 챠트로 어떻게 표현 되는지 굉장히 궁금해졌습니다. 본 교재에 있는 타밈챠트가 자기유지접점이 있는 것이라면 문제 나)의 정답 유접점 회로에서 자기유지접점은 표현은 맞는 것인데요. 반대로 나)의 해설처럼(자기유지접점이 없다) 7번 문제의 타임챠트가 자기유지접점이 없는 것이라면 자기 유지접점이 없는 타임챠트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